해양기후정보서비스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

2024년 달라지는 해양 기후 보고서

2024년 1월부터 분석보고서가 개편됩니다!

1. 일부 자료의 평년 기간이 변경됩니다.

변수명
수정 전
수정 후
해수면
28년 1993년 1월~2019년 12월 재생산자료 2020년 1월~2020년 12월 최근자료
30년 (1993~2022년 재생산자료)
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면기압, 해상풍, 하천 담수 유입량, 파랑, 해빙
30년 (1981~2010년)
30년 (1991~2020년)
해면염분
8년 (2015~2022년)
9년 (2015~2023년)
해면염분의 경우 인공위성(SMAP) 자료가 2015년 4월부터 활용가능하여 평년기간이 아닌 자료기간으로 명시함을 알려드립니다.

2. 3분위 판정 및 공간분포 초과해역 표기의 기준이 변경됩니다.

3분위 판정: 해역별 3분위(높음, 비슷함, 낮음) 판정을 위해 설정한 평년 구간이 (평년 평균 ± 표준편차) 에서 (평년 평균 ± 표준편차×0.5)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공간분포 초과해역 표시: 편차 공간분포에서 평년 평균보다 변화가 큰 해역(이상치, outlier)을 표시하기 위해 평년 표준편차×2 초과를 표시하였습니다.

3. 해양열파, 북극진동지수 변수가 추가됩니다.

해양열파: 해양열파란 수일 혹은 그 이상 지속되는 해수 온도의 극단 현상으로 열파가 오래 지속될 경우 생태계 및 어업, 해양레저 산업 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평년기간의 일 해면수온 관측값의 90백분위 수에서 일 평년값을 뺀 후 5일 이동평균한 값을 해양열파의 임곗값으로 산정합니다. 관측 해면수온 편차값이 해양열파 임곗값을 넘는 경우를 해양열파라고 정의하며, 임곗값의 2~4 배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등급인 보통(moderate)에서부터 강함(strong), 심함(severe), 극심함(extreme)까지 4단계로 구분이 됩니다. 1월 해양열파 보러가기
북극진동지수: 북극진동은 북극과 중위도 사이의 대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기후 변동 패턴입니다. 이는 겨울철에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며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의 겨울철 날씨 뿐만 아니라 대양 및 연안의 온도와 해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북극진동지수는 20°N~90°N 1000hPa 지위고도 편차의 로딩 패턴(loading pattern)을 투영(projection)하여 계산합니다. 북극진동 로딩 패턴은 1979~2000년 20°N~90°N 1000hPa 지위고도 편차의 EOF(Emprical Orthogonal Functions) 첫번째 모드를 사용합니다. 1월 북극진동지수 보러가기

4. 해면기압과 해상풍의 공간분포를 함께 제공합니다.

해면기압과 해상풍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한 공간분포를 제공합니다. 또한, 해면기압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면기압의 시계열 분석은 더 이상 제공하지 않습니다. 1월 해면기압과 해상풍보러가기

5. 동아시아 해역 강수량, 해면염분에서 황하와 장강의 본류가 표시됩니다.

하천(장강) 담수 유입량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하여, 동아시아해역의 강수량, 해면염분의 공간분포에서 황하와 장강의 본류가 표시됩니다.

6. 다양한 추가 자료를 별도의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면기압 및 해상풍 하단의 페이지에서 전지구 지위고도(850hPa, 500hPa, 250ha)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월 지위고도 보러가기
남극 해빙 하단의 페이지에서 북극, 남극 기준의 해면수온, 해상기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월 북극, 남극 참고자료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