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해양기후 상태와 추세 변동
강현우, 강지원, 권민호, 김성훈, 김주홍, 박혁민, 손동휘, 서옥희, 신지윤, 오경희, 유제선, 이강진, 이수봉, 지상은, 최유미, 황초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후예측센터, 해양순환연구센터, 해양빅데이터센터, 해양재난재해연구센터, 극지연구소 대기연구본부
•
해양의 온난화, 산성화, 저산소화로 대표되는 지구 기후변화는 해양 환경과 생태계의 급격한 변동과 변화로 바다를 위협하고 있다.
•
해양기후(Ocean Climate)를 해양 환경 및 생태계의 장기 평균 상태로 정의하고, 전지구 및 동아시아 해역에 대한 월평균 및 연평균 해양기후 대비 2021년 주요 해양기후 변수들의 월(연)평균 상태를 진단하고 그 추세를 분석하였다.
•
평년 평균에 해당하는 해양기후는 위성 및 재분석 자료를 토대로 해양기후 핵심변수들에 대한 장기(~30년) 월(연)평균장으로 정의했으며, 우리나라 주변 지역해를 광역해양생태계(Large Marine Ecosystems) 기준에 따라 황해, 동중국해, 동해로 구분하여 영역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
2021년 연평균 해양기후는 해면수온과 해수면이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021년 월별 편차를 높음(적색), 보통(녹색), 낮음(청색)으로 표시하였고, 그 안의 숫자는 30년 중 순위에 해당하며, 그 위의 숫자는 월편차입니다. 큰원 밖의 숫자는 변수별 연평균과 연추세이고 중앙의 작은 원 밖 막대는 연평균의 판정색과 순위입니다.
해면염분은 평년값 산정이 안 되어 있어 판정색과 순위를 기입하지 않았습니다..
2021년 발생 태풍 경로 및 강도
태풍 발생 및 태풍누적에너지 변화 추이
이하 참고자료…
포스터 구성안 (아래 처음 샘플에서 위의 형태로 바꿔보려고 합니다)
전지구 | 황해 | 동중국해 | 동해 | |
해면수온
- 평년(1991-2020) 대비 연평균 편차
- 역대최고
- 특징
- 추세 |
+0.2℃
라니냐, IOD 중립
+0.2℃/decade |
+0.8℃
3월, 11월
+0.1℃/decade |
+0.7℃
3,6,9,10,12월
+0.1℃/decade |
+1.1℃
4,7,10,11,12월
7월 평균 역대 최고(+2.7℃) |
해수면
- 1993년 이래 최고 |
7,8,9,10월 |
3,7,8,9월 |
3,4,7,8,10월 | |
해상기온
- 역대최고 |
3,7월,연평균 | |||
해상강수량 | 평년과 비슷 | 최근 30년 중 가장 많은 비가 내림
-1.9mm/decade
⇒ -0.6mm/decade |
+2.2mm/decade ⇒ +2.8 mm/decade | 최근 30년 중 가장많은 비가 내림
+2.7mm/decade ⇒ 3.0mm/decade |
해면기압 | 높음 | 낮음 | 비슷 | 비슷 |
해상풍 | 강함 | 약함 | 비슷 | 비슷 |
장강수 유입량 | - | - | 연평균 많음
5,6,9,10월 많음
7,8월 적음 | - |
북극해빙면적 | 작음
두께 감소 | |||
남극해빙면적 | 감소
10~12월 감소 경향과 폭이 두드러짐 | |||
주요해협 수송량 | 대한해협 증가 | |||
태풍 | 18개로 (평년 22.9±4.4개 보다 작음)
최대 풍속 33m/s 이상은 총 8개 (2008년 최저 7개)
최대풍속 50m/s 이상 총 3개 (1999년과 동위로 가장 적음)
4월 태풍 수리개→ 봄철 발생 최강태풍으로 기록 |
해면수온
엘니뇨/라니냐 변동
인도양 쌍극 진동
해수면
해역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