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후정보서비스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실물 포스터안]

2021년 해양기후 상태와 추세 변동

강현우1^1, 강지원1,2^{1,2}, 권민호1,2^{1,2}, 김성훈1^1, 김주홍1,5^{1,5}, 박혁민1,3^{1,3}, 손동휘1,4^{1,4}, 서옥희1,2^{1,2}, 신지윤1,2^{1,2}, 오경희1,2^{1,2}, 유제선1.4^{1.4}, 이강진1^1, 이수봉1.5^{1.5}, 지상은1^1, 최유미1,2^{1,2}, 황초롱1,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1해양기후예측센터, 2^2해양순환연구센터, 3^3해양빅데이터센터, 4^4해양재난재해연구센터, 5^5극지연구소 대기연구본부
해양의 온난화, 산성화, 저산소화로 대표되는 지구 기후변화는 해양 환경과 생태계의 급격한 변동과 변화로 바다를 위협하고 있다.
해양기후(Ocean Climate)를 해양 환경 및 생태계의 장기 평균 상태로 정의하고, 전지구 및 동아시아 해역에 대한 월평균 및 연평균 해양기후 대비 2021년 주요 해양기후 변수들의 월(연)평균 상태를 진단하고 그 추세를 분석하였다.
평년 평균에 해당하는 해양기후는 위성 및 재분석 자료를 토대로 해양기후 핵심변수들에 대한 장기(~30년) 월(연)평균장으로 정의했으며, 우리나라 주변 지역해를 광역해양생태계(Large Marine Ecosystems) 기준에 따라 황해, 동중국해, 동해로 구분하여 영역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2021년 연평균 해양기후는 해면수온과 해수면이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021년 월별 편차를 높음(적색), 보통(녹색), 낮음(청색)으로 표시하였고, 그 안의 숫자는 30년 중 순위에 해당하며, 그 위의 숫자는 월편차입니다. 큰원 밖의 숫자는 변수별 연평균과 연추세이고 중앙의 작은 원 밖 막대는 연평균의 판정색과 순위입니다. 해면염분은 평년값 산정이 안 되어 있어 판정색과 순위를 기입하지 않았습니다..
2021년 발생 태풍 경로 및 강도
태풍 발생 및 태풍누적에너지 변화 추이
KIOST 해양기후예측센터(OCPC)에서 운영 중인 [해양기후 현황과 전망] 누리집(https://ocpc.kr/2021)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이하 참고자료…
포스터 구성안 (아래 처음 샘플에서 위의 형태로 바꿔보려고 합니다)
전지구
황해
동중국해
동해
해면수온 - 평년(1991-2020) 대비 연평균 편차 - 역대최고 - 특징 - 추세
+0.2℃ 라니냐, IOD 중립 +0.2℃/decade
+0.8℃ 3월, 11월 +0.1℃/decade
+0.7℃ 3,6,9,10,12월 +0.1℃/decade
+1.1℃ 4,7,10,11,12월 7월 평균 역대 최고(+2.7℃)
해수면 - 1993년 이래 최고
7,8,9,10월
3,7,8,9월
3,4,7,8,10월
해상기온 - 역대최고
3,7월,연평균
해상강수량
평년과 비슷
최근 30년 중 가장 많은 비가 내림 -1.9mm/decade ⇒ -0.6mm/decade
+2.2mm/decade ⇒ +2.8 mm/decade
최근 30년 중 가장많은 비가 내림 +2.7mm/decade ⇒ 3.0mm/decade
해면기압
높음
낮음
비슷
비슷
해상풍
강함
약함
비슷
비슷
장강수 유입량
-
-
연평균 많음 5,6,9,10월 많음 7,8월 적음
-
북극해빙면적
작음 두께 감소
남극해빙면적
감소 10~12월 감소 경향과 폭이 두드러짐
주요해협 수송량
대한해협 증가
태풍
18개로 (평년 22.9±4.4개 보다 작음) 최대 풍속 33m/s 이상은 총 8개 (2008년 최저 7개) 최대풍속 50m/s 이상 총 3개 (1999년과 동위로 가장 적음) 4월 태풍 수리개→ 봄철 발생 최강태풍으로 기록
해면수온
엘니뇨/라니냐 변동
인도양 쌍극 진동
해수면
해역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