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후정보서비스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

2023년 9~11월 해양기후 시범 전망

목차
2023년 9~11월 해양기후 시범 전망 보고서.pdf
10966.0KB

요약

3개월(9, 10, 11월) 평균 전망: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이 대부분의 해역에서 평년보다 높고, 강한 엘니뇨의 발달이 전망됩니다. ○ (해수면)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해수면은 평년보다 높고 동중국해는 평년과 비슷하겠습니다. ○ (해면수온)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동중국해 해면수온은 평년보다 높겠습니다. ○ (엘니뇨/라니냐) 열대 태평양의 ENSO 지수는 엘니뇨 상태로 전망됩니다. ○ (인도양쌍극진동)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는 양의 상태로 전망됩니다. ○ (해상기온)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동중국해 해상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습니다. ○ (해상강수량)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동중국해 해상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습니다. ○ (해면기압)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동중국해 해면기압은 평년과 비슷하겠습니다. ○ (해상풍)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동중국해 해상풍은 평년과 비슷하겠습니다. ○ (유의파고)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동중국해 유의파고는 평년과 비슷하겠습니다. ○ (평균파주기) 전지구, 동아시아해역, 동해, 황해, 동중국해 평균파주기는 평년과 비슷하겠습니다. ○ (해빙) 북극 해빙면적과 해빙농도는 평년보다 감소하겠습니다.
해역별 전망 ○ (전지구)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황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중국해) 해면수온과 해상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북극해) 해면수온과 해상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해빙면적 및 농도는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개월 해양기후 전망은 미국 해양대기청(NOAA) 계절예측시스템(CFSv2), 북극해빙통계모형(KAOS, Korea Arctic Ocean-data System) 예측자료를 기반으로 OCPC가 재분석하여 시범적으로 전망한 결과입니다. 본 계절 전망은 현재 기술의 예측성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실험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기변수(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면기압, 해상풍)의 과거자료와 통계값을 NCEP/NCAR-R1에서 ERA5로 변경하였습니다. (2022.12.30)
해수면 높이는 가상의 지오이드면(Geoid, 중력포텐셜이 같은 면)을 기준으로 환산한 절대 해수면 높이(Absolute Dynamic Topography, ADT)로서 절댓값 보다는 상대적인 변화와 차이가 더 중요합니다.
전지구 9~11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0.59±0.03m)보다 높겠습니다.
동아시아해역의 9~11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1.06±0.03m)보다 높겠습니다.
동해, 황해의 9~11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0.60±0.05m, 0.72±0.05m)보다 높겠으며, 동중국해는 평년(0.97±0.04m)과 비슷하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수면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해수면(평년 9~11월 평균)
A-B. 전지구 해수면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수면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수면(평년 9~11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해수면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목차
2쪽
전지구 9~11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8.1±0.2℃)보다 0.6℃ 높겠습니다.
동아시아해역의 9~11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22.5±0.4℃)보다 1.4℃ 높겠습니다.
동해, 황해, 동중국해 9~11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7.0±0.6℃, 19.5±0.5℃, 24.9±0.4℃)보다 1.4℃, 0.9℃, 0.7℃ 높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면수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해면수온(평년 9~11월 평균), 예상 해빙 해역 제외
A-B. 전지구 해면수온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평년 9~11월 평균), 예상 해빙 해역 제외
A-B.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3쪽
목차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인 Nino3.4 해역(5°S~5°N, 170°W~120°W)의 9~11월(SON) 평균 해면수온 편차는 0.5°C 이상으로 엘니뇨 상태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9월에서 11월로 갈수록 Nino3.4 해역의 해면수온 편차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엘니뇨/라니냐 지수(ONI, Ocean Nino Index):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인 Nino3.4 해역의 월평균 해면수온 편차(채색부분)를 3개월 이동평균하여 나타낸 지수(검정색 실선)로 0.5보다 크면 엘니뇨, -0.5보다 작으면 라니냐로 판정합니다. 과거 지수(최근 2년)는 OISSTv2.1, 전망은 CFSv2 자료에서 산출하였으며, 검정색 점선은 3개월 전망의 평균값을 나타냅니다.
열대 태평양 해역에서의 3개월(2023년 9~11월) 평균 해면수온의 평년대비 편차 전망 분포
다양한 통계/역학 모형 결과로부터 예측된 Nino3.4 해역 해면수온 편차 전망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Climate and Society, Columbia Univ.)
4쪽
목차
2023년 9~11월(SON) 열대 서인도양 해역(WTIO)과 남동인도양 해역(SETIO) 평균 해면수온의 평년대비 편차 평균이 0.5℃ 이상으로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는 양의 상태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 DMI (Dipole Mode Index)는 WTIO 해역의 평년 대비 편차에서 SETIO 해역의 평년 대비 편차를 뺀 값으로 월평균 해면수온 편차(채색부분)를 3개월 이동평균하여 나타낸 지수(검정색 실선)로 0.5보다 크면 양의 상태, -0.5보다 작으면 음의 상태로 판정합니다. 과거 지수(최근 2년)는 OISSTv2.1, 전망은 CFSv2 자료에서 산출하였으며, 검정색 점선은 3개월 전망값의 평균값을 나타냅니다.
인도양 해역에서의 3개월(2023년 9~11월) 평균 해면수온의 평년대비 편차 전망 분포(표시된 사각형은 인도양 쌍극진동 감시구역으로 각각 WTIO(열대 서인도양 해역), SETIO(열대 남동인도양 해역)이며, DMI 지수는 WTIO의 평년 대비 편차에서 SETIO의 평년 대비 편차를 뺀 값니다.)
5쪽
목차
전지구 9~11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16.3±0.2℃)보다 높겠으며, 북극해와 열대태평양 중심으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전망됩니다.
동아시아해역의 9~11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20.9±0.5℃)보다 높겠습니다.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9~11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13.7±0.9℃, 16.9±0.8℃, 22.4±0.7℃)보다 높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상기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해상기온(평년 9~11월 평균)
A-B. 전지구 해상기온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평년 9~11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6쪽
목차
전지구 9~11월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95.3±2.8mm)과 비슷하겠습니다.
동아시아해역의 9~11월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137.8±18.2mm)보다 낮겠습니다.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9~11월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98.7±26.0mm, 67.8±36.5mm, 134.2±60.0mm)과 비슷하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강수량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강수량(평년 9~11월 평균)
A-B. 전지구 강수량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 강수량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 강수량(평년 9~11월 평균)
A-B. 동아시아 강수량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 평년 대비 130% 이상 해역, : 평년 대비 70% 이하 해역)
7쪽
목차
전지구 9~11월 평균 해면기압은 평년(1011.0±0.2hPa)과 비슷하겠습니다.
동아시아해역의 9~11월 평균 해면기압은 평년(1014.3±1.0hPa)과 비슷하겠습니다.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9~11월 평균 해면기압은 평년(1015.9±1.7hPa, 1018.8±1.2hPa, 1015.9±1.0hPa)과 비슷하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면기압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해면기압(평년 9~11월 평균)
A-B. 전지구 해면기압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 해면기압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 해면기압(평년 9~11월 평균)
A-B. 동아시아 해면기압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8쪽
목차
전지구 9~11월 평균 해상풍속은 평년(4.7±0.2m/s)과 비슷하겠습니다.
동아시아해역의 9~11월 평균 해상풍속은 평년(3.7±0.4m/s)과 비슷하겠습니다.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9~11월 평균 해상풍속은 평년(2.8±0.6m/s, 2.4±0.6m/s, 4.6±1.0m/s)과 비슷하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상풍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해상풍(평년 9~11월 평균)
A-B. 전지구 해상풍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청색벡터: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상풍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상풍(평년 9~11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해상풍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청색벡터: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9쪽
목차
전지구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2.3±0.1m)과 비슷하겠습니다.
동아시아해역의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1.9±0.1m)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1.3±0.1m, 1.0±0.1m, 1.5±0.1m)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유의파고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유의파고(평년 9~11월 평균)
A-B. 전지구 유의파고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평년 9~11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10쪽
목차
전지구 평균파주기는 평년(8.5±0.2초)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아시아해역의 평균파주기는 평년(7.0±0.4초)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평균파주기는 평년(5.3±0.2초, 4.5±0.2초, 6.0±0.3초)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평균파주기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전지구 평균파주기(평년 9~11월 평균)
A-B. 전지구 평균파주기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A. 동아시아해역 평균파주기 전망(2023년 9~11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평균파주기(평년 9~11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평균파주기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점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11쪽
목차
북극 9~11월 평균 해빙면적(해빙농도 15% 이상)은 평년(849만±76만km²)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북극 9~11월 평균 해빙농도는 대부분의 해역에서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북극 해빙농도 전망(2023년 9~11월 평균, 15% 이상 해역)
B. 북극 해빙농도(평년 9~11월 평균, 15% 이상 해역)
A-B. 북극 해빙농도 편차 전망(2023년 9~11월 평균, 15% 이상 해역)
12쪽
목차

해양기후 변수의 의미

해수면 (海水面, Mean Sea Level)
해면수온 (海面水溫, Sea Surface Temperature)
엘니뇨/라니냐 (El Nino/La Nina, ENSO)
인도양 쌍극진동 (Indian Ocean Dipole, IOD) 또는 쌍극모드지수(Dipole Mode Index, DMI)
해상기온 (海上氣溫, Air Temperature at 2m above mean sea level)
해상강수량 (海上降水量, Accumulated precipitation )
해면기압 (海面氣壓, Mean Sea Level Pressure)
해상풍 (海上風, Sea Surface Wind at 10m above mean sea level)
파랑 (波浪, Wave)
해빙 (海冰, Sea Ice)
11쪽
목차

자료 및 분석 정보

Search
자료 및 분석 정보
변수명
평년평균 산출기간
평년평균 산출자료 출처
전망 자료 출처
분석 및 가시화 도구
28년 (1993년 1월~2019년 12월 재생산자료 + 2020년 1월~2020년 12월 최근자료) * 전지구 평균값은 고위도 해역을 제외한 남북위60도 이내 해역에서만 계산함
E.U. Copernicus Marine Service Information, Absolute Dynamic Topography (ADT) 재생산자료: SEALEVEL_GLO_PHY_L4_REP_OBSERVATIONS_008_047
HIPO (Hybrid Intelligence seasonal Prediction system for Ocean climate)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91년 ~2020년)
NCEI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OISST) v2.1 Daily Reynolds - OISST sea surface temperature (AVHRR-only) data obtained from NOAAs'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NCEI)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NOAA/NSIDC Fetterer, F., K. Knowles, W. N. Meier, M. Savoie, and A. K. Windnagel. 2017, updated daily. Sea Ice Index, Version 3. Boulder, Colorado USA. NSID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Python 3.7.10 (matplotlib 3.2.0, basemap 1.2.1) Python 3.9.2 (Plotly 4.14.3)
COUNT8
12쪽
목차
13쪽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