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후정보서비스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

PNA & PSA

1.
태평양-북미 패턴(Pacific-North American Pattern, PNA)
PNA는 북태평양과 북미의 대기 순환 패턴을 설명하는 기후모드로, 북태평양의 해면수온 변화와 상층 대기(500hPa) 흐름의 상관관계를 반영합니다. 이는 엘니뇨/라니냐와 관련성이 높으며, 북미의 기후 및 태평양 해양 순환 변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양의 PNA: 북태평양(알래스카주변)에서 고기압성 편차가 발달합니다. 엘니뇨 시기 적도 태평양 동부의 해면수온 상승 시 양의 PNA 발생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음의 PNA: 북태평양에서 저기압성 편차가 발달하며, 이는 라니냐 시기 적도 태평양 동부 해면수온 하강 시 음의 PNA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태평양-남미 패턴(Pacific-South American Pattern, PSA)
PSA는 남반구에서 중위도 및 고위도에서 나타나는 해양-대기 상호작용 패턴으로, 남태평양과 남아메리카의 기후 변동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기후모드입니다. 이는 엘니뇨/라니냐와 관련성이 높으며, 남미와 남극의 기후에 영향을 미칩니다.
PSA-1: 남태평양 중앙 및 동부에 저기압성 편차가 발달합니다. 엘니뇨 시기에 적도 동태평양의 해면수온이 상승하면, 남태평양 및 남아메리카의 대기 순환이 변화하고, 남극의 기온이 상승합니다.
PSA-2: 남태평양 중앙 및 동부에 고기압성 편차가 발달합니다. 라니냐 시기에 적도 서태평양 해면수온이 상승하면, PSA-1 패턴과 반대로 남극의 기온이 감소합니다.
Echevarria, E. R., Hemer, M. A., Holbrook, N. J., & Marshall, A. G. (2020). Influence of the Pacific‐South American modes on the global spectral wind‐wave climat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125(8), e2020JC016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