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3개월(4, 5, 6월) 평균 전망: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은 전지구, 동아시아해역에서 평년보다 높겠습니다. 열대태평양 Nino3.4 해역의 해면수온 편차는 중립상태로 전망됩니다.
해역별 전망
○ (전지구)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 해상강수량, 유의파고,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황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 해상풍,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중국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 유의파고,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높고, 해상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북극해) 해면수온 및 해상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해빙면적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기변수(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면기압, 해상풍)의 과거자료와 통계값을 NCEP/NCAR-R1에서 ERA5로 변경하였습니다. (2022.12.30)
해수면, 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상풍, 해빙의 평년 기간을 변경하였습니다. (해수면: 1993~2022년, 대기변수, 해빙: 1991~2020년) (2024.02.29)
해역별 3분위 판정(높음, 비슷함, 낮음)의 평년 구간이 (평년 평균 ± 표준편차×0.5)로 변경되었습니다. (2024.02.29)
편차 공간분포의 점표시 기준을 평년 표준편차×2 초과로 변경하여 이상치(outlier)를 표시하였습니다. (2024.02.29)
북극 해빙면적 산출 기준을 Sea Ice Extent에서 Sea Ice Area로 변경하였습니다. (2024.03.29) 자세히보기
파랑(유의파고, 평균파주기) 자료를 ERA5에서 자체 모델(SeaWaFo)로 변경하였습니다. (평년: 2014~2023년)(2024.05.31)
대기변수(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면기압, 해상풍)의 예측자료 편차를 CFSR자료를 활용하여 계산하였습니다. (2025.3.27)
해수면 높이는 가상의 지오이드면(Geoid, 중력포텐셜이 같은 면)을 기준으로 환산한 절대 해수면 높이(Absolute Dynamic Topography, ADT)로서 절댓값 보다는 상대적인 변화와 차이가 더 중요합니다.
•
전지구 4~6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58±1cm)보다 높겠으며, 열대 남동인도양 및 남대서양, 열대태평양 및 북동대서양 해역에서 평년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높은 해수면 편차가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 4~6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96±2cm)보다 높겠습니다.
•
쿠로시오 대사행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동아시아해역 내에서는 쿠로시오 확장역(140~150°E, 30~40°N)에서 가장 높은 편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4~6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48±2cm, 60±2cm, 83±2cm)보다 높겠습니다.
•
우리나라 주변 해역은 대부분 평년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높은 해수면 편차를 보이며, 그 중에서도 동해에서 가장 높은 편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수면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전지구 해수면(평년 4월~6월 평균)
A-B. 전지구 해수면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수면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수면(평년 4월~6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해수면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2쪽
•
전지구 4~6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8.3±0.1℃)보다 0.5℃ 높겠으며, 쿠로시오 확장역을 포함한 중위도 북태평양과 북대서양 해역에서 평년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높은 해면수온 편차가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 4~6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9.7±0.2℃)보다 0.3℃ 높겠습니다.
•
동해 및 쿠로시오 확장역에서 평년보다 3℃ 이상의 높은 해면수온 편차 분포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 황해, 동중국해 4~6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1.5±0.3℃, 14.0±0.3℃, 21.5±0.3℃)보다 1.0℃, 0.9℃, 0.3℃ 높겠습니다.
•
월별 해면수온 전망에 따르면, 4월 우리나라 남동부 해안에 평년대비 낮은 해면수온 편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6월로 갈수록 해면수온 편차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면수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전지구 해면수온(평년 4월~6월 평균), 예상 해빙 해역 제외
A-B. 전지구 해면수온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평년 4월~6월 평균), 예상 해빙 해역 제외
A-B.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3쪽
목차
•
전지구 4~6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16.8±0.1℃)보다 높겠습니다.
•
북극해에서 평년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해상기온이 전망되며, 북태평양, 북대서양에서도 평년보다 높은 해상기온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4~6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19.0±0.2℃)보다 높겠으며,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4~6월 평균 해상기온 역시 각 해역별 평년(11.6±0.4℃, 15.0±0.3℃, 20.9±0.3℃)보다 높겠습니다.
•
4~6월 동아시아해역의 북부에 고기압성 편차의 영향으로 동해 북부 및 일본 북동부에서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해상기온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4월에서 6월로 갈수록 편차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상기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전지구 해상기온(평년 4월~6월 평균)
A-B. 전지구 해상기온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평년 4월~6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4쪽
목차
•
전지구 4~6월 평균 해상풍속은 평년(4.6±0.1m/s)과 비슷하겠습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4~6월 평균 해상풍속은 평년(2.4±0.2m/s)보다 강하겠습니다.
•
황해의 4~6월 평균 해상풍속은 평년(2.0±0.3m/s)보다 강하겠으며, 동해 및 동중국해는 평년(1.8±0.3m/s, 2.2±0.3m/s)과 비슷하겠습니다.
•
쇠퇴하는 라니냐의 영향으로 북서태평양 해역에서 아열대 저기압 편차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북동부에는 고기압성 편차가, 남서부에는 저기압성 편차가 전망됨에 따라 동아시아해역 남부에서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북서풍이 우세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 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상풍 및 해면기압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전지구 해상풍 및 해면기압(평년 4월~6월 평균)
A-B. 전지구 해상풍 및 해면기압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흑색벡터: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 해상풍 및 해면기압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동아시아 해상풍 및 해면기압(평년 4월~6월 평균)
A-B. 동아시아 해상풍 및 해면기압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흑색벡터: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5쪽
목차
파랑(유의파고, 평균파주기) 자료는 2024년 5월부터 KIOST에서 수행한 파랑예측모델(SeaWaFo) 자료로 제공됩니다. 평년기간은 2014~2023년(10년)으로 산정하였으며, 평년기간 대비 월별 편차를 시범적으로 제공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전지구 4~6월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2.93±0.03m)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남인도양 일부 해역과 필리핀해에서 높은 편차를 보였으며, 이는 해당 해역에서 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풍속의 영향으로 생각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4~6월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1.80±0.06m)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아시아해역의 저위도(20~30°N) 영역 전반에서 해상풍속이 평년보다 강해질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그 영향으로 유의파고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동중국해의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1.57±0.04m)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 황해의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1.04±0.07m, 0.81±0.05m)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 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유의파고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전지구 유의파고(평년 4월~6월 평균)
A-B. 전지구 유의파고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평년 4월~6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6쪽
목차
•
전지구 4~6월 평균파주기는 평년(8.80±0.06초)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4~6월 평균파주기는 평년(7.03±0.10초)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아시아해역의 저위도(20~30°N) 해역 전반에서 해상풍속이 강해질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따라 유의파고와 너울성 파랑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황해, 동중국해의 평균파주기는 평년(4.58±0.06초, 6.39±0.13초)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의 평균파주기는 평년(5.17±0.10초)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 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평균파주기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전지구 평균파주기(평년 4월~6월 평균)
A-B. 전지구 평균파주기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7쪽
목차
•
전지구 4~6월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96.8±1.3mm)과 비슷하겠습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4~6월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133.0±9.7mm)보다 적겠습니다.
•
4~6월 동중국해의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206.5±23.5mm)보다 적겠으며, 동해, 황해의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80.8±11.0mm, 83.8±14.7mm)과 비슷하겠습니다.
•
중국 동남부 및 동아시아 저위도 해역에서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적은 강수량 편차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0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강수량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전지구 강수량(평년 4월~6월 평균)
A-B. 전지구 강수량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 강수량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B. 동아시아 강수량(평년 4월~6월 평균)
A-B. 동아시아 강수량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8쪽
목차
•
북극 4~6월 평균 해빙면적은 평년(1,084만±20만km²)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나, 래브라도해, 바렌츠-카라해에서 작은 해빙농도 편차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A. 북극 해빙농도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15% 이상 해역)
B. 북극 해빙농도(평년 4월~6월 평균, 15% 이상 해역)
A-B. 북극 해빙농도 편차 전망(2025년 4월~6월 평균, 15% 이상 해역)
9쪽
목차
•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인 Nino3.4 해역(5°S~5°N, 170°W~120°W)의 3월 1~20일 평균 해면수온 편차는 0.1℃로 중립 상태이며, 4~6월(AMJ) 평균 해면수온 편차는 -0.5℃ 이상 0.5℃ 이하로 중립 상태가 전망되며, IRI의 역학 및 통계모형 또한 중립상태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
최근 중태평양의 음의 해면수온 편차가 줄어들고 있으며, 중태평양의 강한 서풍발달에 의해 동쪽의 양의 해면수온 편차가 서쪽으로 확장하여 라니냐가 약화되었습니다. 하지만 해양 상부층(subsurface)에서는 라니냐의 특성인 음의 수온 편차가 존재하고 있어, 중립상태의 전망은 불확실성이 큽니다. 참고
엘니뇨/라니냐 지수(ONI, Ocean Nino Index):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인 Nino3.4 해역의 월평균 해면수온 편차(채색부분)를 3개월 이동평균하여 나타낸 지수(검정색 실선)로 0.5보다 크면 엘니뇨, -0.5보다 작으면 라니냐로 판정합니다. 과거 지수(최근 2년)는 OISSTv2.1, 전망은 HIPO 자료에서 산출하였으며, 검정색 점선은 3개월 전망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투명도가 있는 막대 그래프는 1일부터 20까지의 평균값(OISSTv2.1)을 의미합니다.
열대 태평양 해역에서의 3개월(2025년 4월~6월) 평균 해면수온의 평년대비 편차 전망 분포
다양한 통계/역학 모형 결과(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Climate and Society, Columbia Univ.) 및 해양기후예측센터에서 산출된 Nino3.4 해역 해면수온 편차 전망
10쪽
목차
•
2025년 3월 1~20일까지의 평균 열대 서인도양 해역(WTIO)과 남동인도양 해역(SETIO) 두 해역 간 편차의 차이는 -0.5℃ 이상 0.5℃ 이하로 중립 상태이며, 4~6월(AMJ)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는 중립 상태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도양 해역에서의 3개월(2025년 4월~6월) 평균 해면수온의 평년대비 편차 전망 분포(표시된 사각형은 인도양 쌍극진동 감시구역으로 각각 WTIO(열대 서인도양 해역), SETIO(열대 남동인도양 해역)이며, DMI 지수는 WTIO의 평년 대비 편차에서 SETIO의 평년 대비 편차를 뺀 값입니다.)
11쪽
목차
해양기후 변수의 의미
해수면 (海水面, Mean Sea Level)
해면수온 (海面水溫, Sea Surface Temperature)
해상기온 (海上氣溫, Air Temperature at 2m above mean sea level)
해상풍 (海上風, Sea Surface Wind at 10m above mean sea level)
해면기압 (海面氣壓, Mean Sea Level Pressure)
파랑 (波浪, Wave)
해상강수량 (海上降水量, Accumulated precipitation)
해빙 (海冰, Sea Ice)
엘니뇨/라니냐 (El Nino/La Nina, ENSO)
인도양 쌍극진동 (Indian Ocean Dipole, IOD) 또는 쌍극모드지수(Dipole Mode Index, DMI)
12쪽
목차
자료 및 분석 정보
Default view
List
Search
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