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3개월(1, 2, 3월) 평균 전망: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은 전지구, 동아시아해역에서 평년보다 높겠으며, 북극 해빙면적은 평년보다 작겠습니다. 열대 태평양에 라니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해역별 전망
○ (전지구)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 해상풍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해상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 유의파고,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황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중국해) 해수면, 해면수온, 해상기온,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해상강수량, 유의파고,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북극해) 해상기온 및 해면수온은 평년보다 높고, 해빙면적은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기변수(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면기압, 해상풍)의 과거자료와 통계값을 NCEP/NCAR-R1에서 ERA5로 변경하였습니다. (2022.12.30)
해수면, 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상풍, 해빙의 평년 기간을 변경하였습니다. (해수면: 1993~2022년, 대기변수, 해빙: 1991~2020년) (2024.02.29)
해역별 3분위 판정(높음, 비슷함, 낮음)의 평년 구간이 (평년 평균 ± 표준편차×0.5)로 변경되었습니다. (2024.02.29)
편차 공간분포의 점표시 기준을 평년 표준편차×2 초과로 변경하여 이상치(outlier)를 표시하였습니다. (2024.02.29)
북극 해빙면적 산출 기준을 Sea Ice Extent에서 Sea Ice Area로 변경하였습니다. (2024.03.29) 자세히보기
파랑(유의파고, 평균파주기) 자료를 ERA5에서 자체 모델(SeaWaFo)로 변경하였습니다. (평년: 2014~2023년)(2024.05.31)
해수면 높이는 가상의 지오이드면(Geoid, 중력포텐셜이 같은 면)을 기준으로 환산한 절대 해수면 높이(Absolute Dynamic Topography, ADT)로서 절댓값 보다는 상대적인 변화와 차이가 더 중요합니다.
•
전지구 1~3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58±1cm)보다 높겠으며, 열대 동인도양 및 남대서양, 중위도 북동태평양 및 뉴질랜드 인근 해역에서 평년 2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높은 해수면 편차가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 1~3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95±2cm)보다 높겠습니다.
•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1~3월 평균 해수면은 평년(47±2cm, 54±2cm, 82±2cm)보다 높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수면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전지구 해수면(평년 1월~3월 평균)
A-B. 전지구 해수면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수면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수면(평년 1월~3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해수면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2쪽
•
전지구 1~3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8.4±0.1℃)보다 0.5℃ 높겠습니다. 열대 서태평양, 쿠로시오 확장역의 해면수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 1~3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7.2±0.2℃)보다 0.8℃ 높겠습니다.
•
동해, 황해, 동중국해 1~3월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7.9±0.2℃, 8.4±0.3℃, 18.6±0.2℃)보다 1.8℃, 0.6℃, 0.5℃ 높겠습니다.
•
수온전선이 북상함에 따라 동해 및 쿠로시오 확장역에서 평년보다 4℃ 이상의 높은 해면수온 편차 분포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경 131°, 북위 40° 상에서 발생한 높은 해면수온 편차 분포는 겨울 내내 지속되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동해, 황해, 동중국해) 중 동해가 가장 높은 편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면수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전지구 해면수온(평년 1월~3월 평균), 예상 해빙 해역 제외
A-B. 전지구 해면수온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평년 1월~3월 평균), 예상 해빙 해역 제외
A-B. 동아시아해역 해면수온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3쪽
목차
•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인 Nino3.4 해역(5°S~5°N, 170°W~120°W)의 12월 1~20일 평균 해면수온 편차는 -0.6℃로 라니냐 상태이며, 1~3월(JFM) 평균 해면수온 편차는 -0.5℃ 이하로 라니냐 상태가 전망됩니다.
•
2025년 1월까지는 Nino3.4 해역의 해면수온 편차가 감소하지만 2월부터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IRI 역학 예측 모형 결과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엘니뇨/라니냐 지수(ONI, Ocean Nino Index):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인 Nino3.4 해역의 월평균 해면수온 편차(채색부분)를 3개월 이동평균하여 나타낸 지수(검정색 실선)로 0.5보다 크면 엘니뇨, -0.5보다 작으면 라니냐로 판정합니다. 과거 지수(최근 2년)는 OISSTv2.1, 전망은 CFSv2 자료에서 산출하였으며, 검정색 점선은 3개월 전망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투명도가 있는 막대 그래프는 1일부터 20까지의 평균값(OISSTv2.1)을 의미합니다.
열대 태평양 해역에서의 3개월(2025년 1월~3월) 평균 해면수온의 평년대비 편차 전망 분포
다양한 통계/역학 모형 결과(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Climate and Society, Columbia Univ.) 및 해양기후예측센터에서 산출된 Nino3.4 해역 해면수온 편차 전망
4쪽
목차
•
2024년 12월 1~20일까지의 평균 열대 서인도양 해역(WTIO)과 남동인도양 해역(SETIO) 두 해역 간 편차의 차이는 -0.5℃ 이하로 음의 상태이며, 1~3월(JFM)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는 중립 상태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5년 1월까지는 남동인도양 해역에서 서인도양 해역보다 높은 해면수온 편차를 나타내지만 2월부터는 반대의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 DMI (Dipole Mode Index)는 WTIO 해역의 평년 대비 편차에서 SETIO 해역의 평년 대비 편차를 뺀 값으로 월평균 해면수온 편차(채색부분)를 3개월 이동평균하여 나타낸 지수(검정색 실선)로 0.5보다 크면 양의 상태, -0.5보다 작으면 음의 상태로 판정합니다. 과거 지수(최근 2년)는 OISSTv2.1, 전망은 CFSv2 자료에서 산출하였으며, 검정색 점선은 3개월 전망값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투명도가 있는 막대 그래프는 1일부터 20일까지의 평균값(OISSTv2.1)을 의미합니다.
인도양 해역에서의 3개월(2025년 1월~3월) 평균 해면수온의 평년대비 편차 전망 분포(표시된 사각형은 인도양 쌍극진동 감시구역으로 각각 WTIO(열대 서인도양 해역), SETIO(열대 남동인도양 해역)이며, DMI 지수는 WTIO의 평년 대비 편차에서 SETIO의 평년 대비 편차를 뺀 값입니다.)
5쪽
목차
•
전지구 1~3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16.7±0.1℃)보다 높겠으며, 북극해, 열대 서태평양, 북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을 중심으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전망됩니다.
•
북극해 상공 저기압성 편차가 나타나는 해역에 남풍이 발달하고, 북극 해빙이 감소함에 따라 북극 해상기온의 고온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1~3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12.1±0.3℃)보다 높겠습니다.
•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1~3월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0.9±0.5℃, 3.7±0.5℃, 13.1±0.4℃)보다 높겠습니다.
•
유라시아 대륙에 전반적인 저기압성 편차가 발달이 전망됨에 따라 대륙성 고기압의 상대적인 약화가 예상되며, 이의 영향으로 동아시아해역의 해상기온이 평년에 비해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월별 해상기온 전망에 따르면, 2~3월에 북태평양에 고기압성 편차의 발달으로 동아시아해역의 해상기온이 평년에 비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동해에 강한 고온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상기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전지구 해상기온(평년 1월~3월 평균)
A-B. 전지구 해상기온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평년 1월~3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해상기온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6쪽
목차
•
전지구 1~3월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95.3±1.6mm)보다 적겠습니다.
•
열대태평양에 라니냐의 발달이 예상됨에 따라 열대서태평양의 해상강수량 증가가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1~3월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88.2±7.2mm)보다 적겠습니다.
•
1~3월 동중국해의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116.3±17.2mm)보다 적겠으며, 동해 및 황해의 평균 해상강수량은 평년(71.2±7.3mm, 32.7±7.7mm)과 비슷하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강수량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전지구 강수량(평년 1월~3월 평균)
A-B. 전지구 강수량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 강수량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동아시아 강수량(평년 1월~3월 평균)
A-B. 동아시아 강수량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7쪽
목차
•
전지구 1~3월 평균 해상풍은 평년(4.8±0.1m/s)보다 강하겠습니다.
•
알류샨 저기압 및 대륙성 고기압의 약화가 전망되며 이의 영향으로 겨울철 동아시아의 기온 상승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1~3월 평균 해상풍은 평년(4.4±0.3m/s)보다 강하겠습니다.
•
동해, 황해, 동중국해의 1~3월 평균 해상풍은 평년(4.4±0.4m/s, 3.1±0.3m/s, 4.6±0.4m/s)과 비슷하겠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 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해상풍 및 해면기압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전지구 해상풍 및 해면기압(평년 1월~3월 평균)
A-B. 전지구 해상풍 및 해면기압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흑색벡터: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 해상풍 및 해면기압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동아시아 해상풍 및 해면기압(평년 1월~3월 평균)
A-B. 동아시아 해상풍 및 해면기압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흑색벡터: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8쪽
목차
파랑(유의파고, 평균파주기) 자료는 2024년 5월부터 KIOST에서 수행한 파랑예측모델(SeaWaFo) 자료로 제공됩니다. 평년기간은 2014~2023년(10년)으로 산정하였으며, 평년기간 대비 월별 편차를 시범적으로 제공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전지구 1~3월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2.92±0.04m)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1~3월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2.36±0.08m)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의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1.52±0.11m)보다 증가하고, 동중국해는 평년(1.88±0.08m)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황해의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1.07±0.07m)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 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유의파고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전지구 유의파고(평년 1월~3월 평균)
A-B. 전지구 유의파고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평년 1월~3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유의파고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10쪽
목차
•
전지구 1~3월 평균파주기는 평년(8.82±0.05초)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아시아해역의 1~3월 평균파주기는 평년(7.25±0.12초)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동해의 평균파주기는 평년(5.53±0.13초)보다 증가하고, 동중국해(6.20±0.08초)는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황해의 평균파주기는 평년(4.44±0.07초)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 0.5 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평균±0.5 표준편차, 가로실선: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주황색: 높음, 회색: 비슷함, 하늘색: 낮음)
A. 전지구 평균파주기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전지구 평균파주기(평년 1월~3월 평균)
A-B. 전지구 평균파주기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A. 동아시아해역 평균파주기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B. 동아시아해역 평균파주기(평년 1월~3월 평균)
A-B. 동아시아해역 평균파주기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점표시: 평년 ±2 표준편차 초과해역)
11쪽
목차
•
북극 1~3월 평균 해빙면적은 평년(1,280만±20만km²)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월별 편차 전망에 따르면 해빙이 1월부터 빠르게 증가하여 3월에는 평년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12월 해빙면적의 증가가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에 따라 예측값에 비해 작은 해빙면적이 나타날 수 있으며, 11월 해빙두께가 분석기간 중 최저값을 기록함에 따라 3월 해빙이 녹는 시기가 평년에 비해 빠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A. 북극 해빙농도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15% 이상 해역)
B. 북극 해빙농도(평년 1월~3월 평균, 15% 이상 해역)
A-B. 북극 해빙농도 편차 전망(2025년 1월~3월 평균, 15% 이상 해역)
12쪽
목차
해양기후 변수의 의미
해수면 (海水面, Mean Sea Level)
해면수온 (海面水溫, Sea Surface Temperature)
엘니뇨/라니냐 (El Nino/La Nina, ENSO)
인도양 쌍극진동 (Indian Ocean Dipole, IOD) 또는 쌍극모드지수(Dipole Mode Index, DMI)
해상기온 (海上氣溫, Air Temperature at 2m above mean sea level)
해상강수량 (海上降水量, Accumulated precipitation)
해면기압 (海面氣壓, Mean Sea Level Pressure)
해상풍 (海上風, Sea Surface Wind at 10m above mean sea level)
파랑 (波浪, Wave)
해빙 (海冰, Sea Ice)
11쪽
목차
자료 및 분석 정보
Default view
List
Search
12쪽